
한국광기술원(원장 신용진)은 광학렌즈분야 연구·개발(R&D)와 기업지원에 본격 나선다고 2일 밝혔다.
지난해 8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광학렌즈분야 국가연구시설(N-Facility)로 지정된 한국광기술원 지능형광학모듈센터(센터장 박종복)는 후속조치로 이달부터 ‘선도연구시설 고도화 지원 사업(지능형 광학모듈 연구시설·장비 고도화 사업)’을 수행한다. 국가연구시설은 R&D 상용화 단계에서 국가 핵심품목 연구개발 지원 및 테스트베드 제공을 통해 선도적 역할 수행한다.
광학렌즈는 최근 각광 받고 있는 인공지능(AI) 산업분야에서 카메라 이미지 및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눈과 같은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품이다. 지능형 머신비전, 자율주행차, 교통시스템, 스마트 농장, 스마트 홈, 스마트 공장, 드론 및 보안·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는 광학렌즈는 광학기반 제조공정 장비가 고도화·지능화되면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.
박종복 지능형광학모듈연구센터장은 “AI산업과 연계한 다양한 영상 카메라 시스템과 광학기반 제조공정 장비와 관련된 중소·중견기업의 R&D 및 기업지원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”고 말했다.
2001년 설립된 한국광기술원은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지정받은 국내 유일의 ‘광융합기술 전문연구소’로 발광다이오드(LED), 레이저, 센서, 렌즈 등 빛의 원천을 연구한다. 에너지, 환경, 자율차, 차세대 디스플레이, 정보통신기술(ICT), 의료·바이오, 환경 분야를 중심으로 빛을 다양하게 활용하기 위한 R&D와 기업지원을 통해 광 융합 기술혁신을 선도하고 있다.
신용진 원장은 “광학렌즈 관련 산업 현장과의 긴밀한 협력 지원체계 강화를 통해 국내 광학산업의 국가 경쟁력 제고에 힘쓰겠다”며 “시장과 기술을 선도하는 거점기관으로서의 역할과 책임을 충실히 수행해 나가겠다”고 강조했다.